메뉴 건너뛰기

행복을여는교회

목회자코너

조회 수 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행복동산 칼럼 395호) 2017. 7. 16

 

가정교회 문화를 만들어야


(가사원장 최영기 목사님의 칼럼을 인용, 첨언해 보았습니다)

 

어떻게 하면 가정교회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까? 몇 분들에게 이메일을 보내어 의견을 물었습니다. 이때 어떤 분이 다음과 같은 의견을 보내주었습니다. 글 쓰신 분의 의도가 왜곡될 수 있지만, 본인의 허락을 받았기에 일부를 발췌해서 여기에 옮깁니다.

 

이동 신자를 받지 않는다는 원칙을 상황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목장 모임을 꼭 금요일 해야 한다는 것도 조정되어야 합니다. 주중의 다른 날이나 주일 오후에 할 수도 있고, 예배 후 할 수 있도록 개 교회, 개 목장에 맞게 선택의 권한을 주어야 합니다목장, 목자, 목녀라는 의무적 이름도 교단에 따라 바꿀 수 있도록 허용이 되어야 합니다. 3기둥 4축만 제대로 붙들고 있다면 울타리를 느슨하게 열어주어야 교단이나 장로들도 유연하게 수용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가정교회의 3기둥 4축 외에는 자신의 상황에 맡게 연구하고,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다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건희 회장 말처럼 바꿀 수 있는 것은 다 바꿔야 하겠습니다가정교회가 매뉴얼화 되었므로 전수와 전달은 쉬워졌지만, 역동성이 억제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도화된 교회는 역동성이 죽고 교회는 화석화의 길을 걸었습니다삶 공부도 이제 개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새로운 삶 과정이 지금도 필요한가를 물어야 하겠습니다. 생명의 삶 과정을 좀 더 단순화하여 줄이고 Q&A 세션을 두어서 VIP가 와서 듣고 질문하고 결단할 수 있는 변증적 요소를 더한 과정을 하나 더 만들 수도 있을 것입니다또한 허그식 같은 경우 한국에 필요한가? 라는 의문, 확신의 삶 과정은 과연 필요한가? 한국 목자들 그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필수 삶 공부의 한국화가 필요합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이 제안을 다 수용하면 어떤 결과가 생길까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목장모임도 편리에 의해 시간과 날짜를 변동하고, 목장이라는 이름을 도입하지 않아도 되고, 목자 목녀라는 명칭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기신자 등록도 허락하고, 조직 신학 코스라고 할 수 있는 생명의 삶도 질의응답 하는 코스로 만들고, 새로운 삶은 대폭 개정하든지 다른 코스로 대치한다면, 가정교회에는 과연 무엇이 남을까? 그리고 이렇게 하면 정말 많은 목회자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어 가정교회 운동에 합류하고, 진정한 신약 교회 회복이 이루어질까?

 

가정교회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히 한 교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위기 상황에 빠진 한국 교회와 해외 한인 교회를 살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같은 꿈을 꾸는 사람들이 큰 물결을 이루어야합니다. 물결을 이루기 위해서는 고유의 문화를 형성해야합니다. 문화는 정신을 담는 용기와 같습니다. 문화가 형성되지 않고는 어떠한 개혁 운동이라도 확산될 수도, 전수될 수도 없습니다. 고유한 문화는 고유한 용어관행을 통하여 형성됩니다.

 

가정교회에는 이미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목장, 목자, 목녀라는 용어, 매주일 가정에서 남녀가 같이 모이는 목장 모임, 그때 갖는 애찬, 6개의 필수 삶 공부, 예수 영접 모임, 섬기는 리더십, 숙식을 제공하면서 갖는 세미나, VIP를 귀하게 여기는 것, 기신자 등록 거부 등입니다.

 

이러한 문화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닙니다. 휴스턴 서울 교회에서 20여 년 동안 시행하면서 신약교회 회복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열매로 검증되었고, 이를 도입한 교회에서도 같은 열매를 맺는 것으로 증명 된 것입니다.

 

가정교회 역사는 20년이지만 총체적으로 보면 약 3년 된 지역 가정교회와 같습니다. 가정교회에 대한 이해도는 높아졌지만 대부분의 교회에서 가정교회 문화가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했습니다. 담임목사가 물러나면 가정교회를 접을 교회들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가 형성 될 때까지는 가정교회 원칙을 따르고 관행을 좇는 것이 필요합니다. (뿌리가 내린 증거는 가정교회 관행이 아닌 다른 것이 이상하게 보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교회의 상황에 맞춘다고 이것저것 요리조리 바꾸다 보면 성경적인 원리와 멀어질 수도 있고 일관성이 사라집니다.

 

가정교회 원칙만 도입해서 자신의 스타일대로 목회를 해보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유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목회는 잘 해 낼 것입니다. 그러나 목회 전수는 안 됩니다. 물러나게 되면 후임자도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교회를 만들려고 하기 때문에 선임자가 이루어 놓은 것을 무너뜨리고 자신의 것으로 대치하려 할 것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교회가 분란을 겪고 영혼 구원에 집중되어야할 에너지가 소진됩니다.

 

그러나 가정교회 문화를 정착시켜 놓고, 가정교회 문화를 아는 목회자를 후임자로 모시면, 무너뜨리는 과정 없이 선임자가 세워 놓은 것 위에 자신의 은사와 소명을 좇아 자신의 것을 더하기 때문에 교회가 계속 건강하게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가정교회 문화는 경직된 문화가 아닙니다. 다양성과 신축성을 허락합니다. 많은 교회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연합 목장 예배를 드리고 있으며, 고유의 방법으로 목자 임명식, 분가식, 허그식, 세겹줄 기도회를 갖고 있든지, 아예 안 갖기도 합니다. 삶 공부도 6개의 핵심 코스 외에 자유롭게 다른 코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니엘 기도 등 다양한 기도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도 하고, 소수가 주도하는 프로그램이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각종 전도 행사도 시도하고 있습니다. 기신자 등록을 거부하는 원칙을 적용하는데 있어서도, 신약교회 회복에 동참하기를 간절히 원하는 사람이 있으면 교회 실정에 맞는 조건을 제시하여 등록을 받기도 합니다.

 

이처럼 문화 안에서 신축성과 자율성은 좋지만, 가정교회 문화 자체에 영향을 미칠 변화에는 신중해야 합니다. 변화를 위한 변화, 편의를 위한 변화는 안 됩니다. 영혼 구원하여 제자 만든다는 교회 존재 목적에 도움이 되며, 신약교회 원칙에 어긋나지 않을 때에만 바꾸어야합니다. 그리고 가정교회 회원들의 총체적인 합의에 의하여 바꾸어야 합니다. 아직 우리 교회에 가정교회 문화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점점 되어가고 있다면, 우선은 죽기살기로 원칙을 고수하고, 기본기에 더욱 충실하고 있는지를 되물으며 뿌리를 내리고 체질화 될때까지 힘써야 할 것입니다.

 

 

자연스런 영성, 생활화된 헌신 +shalom 신규갑 목사



위로